<색상환>
처음 색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색의 3속성을 이해하고 있으면 색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색의 3속성이란?
색을 지각하는데 있어서 대표적인 속성인 색상(Hue),명도(Value), 채도(Chroma)를 색의 3속성이라고 합니다.
색상(Hue)
색상은 빨강, 노랑, 파랑, 보라 등의 색의 차이를 의미하며, 하나의 색이 다른 색과 구별되는 성질로 유채색에만 있습니다.
색의 종류를 말하고, 이들 색상을 스펙트럼 순서로 둥글게 배열한 고리모양의 도표를 색상환이라고 합니다.
색상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색상차가 작은 색을 유사색,
색상환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색상차가 큰 색을 반대색,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어 색상차가 가장 큰 색을 보색이라고 합니다.
명도(Value)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구별하여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성질로 무채색과 유채색에 모두 있습니다.
가장 밝은 색, 순수한 흰색(고명도)10으로 보고, 가장 어두운색, 순수한 검정색 (저명도)0으로 보고
그 사이를 9단계로 구분하여 11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회색은 중명도라고 합니다.
어떤 색이든 흰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높아지고, 검정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아집니다.
<색의 명도>
채도(Chroma)
채도는 색의 맑고 탁한정도/ 선명한 정도(색의 순도)를 나타내고 색의 강약을 말하며 유채색에만 있습니다.
채도가 가장 높은색은 순색이라고 합니다.
순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고 순색에 다른 색상을 가하면 채도가 낮아집니다.
<노랑색의 채도 단계>
색의 분류
색채는 크게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무채색(Achromatic Color)은
흰색, 여러층의회색, 검정색을 뜻하며 색을 구별할 수 있는 성질인 색상을 갖고 있지않습니다.
무채색의 구별은 밝고 어두운 정도의 차이로, 명도는 있지만 색상과 채도가 없습니다.
<무채색>
유채색(Chromatic Color)은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을 뜻하며 색을 느끼게 해줍니다.
유채색은 색의 3속성 (색상(Hue),명도(Value), 채도(Chroma))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유채색>
유채색은 순색(純色), 탁색(濁色), 청색(淸色) 으로 나누어지고
탁색(濁色)은 명탁색(明濁色)과 암탁색(暗濁色)으로,
청색(淸色)은 명청색(明淸色)과 암청색(暗淸色)으로 나뉘어 집니다.
풀이 하자면..
* 순색(純色): 하나의 색상에서 무채색 포함량이 가장 적은 색,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말합니다.
* 탁색(濁色): 청색이나 순색에 회색을 혼합한 색, 채도가 청색에 비해 낮습니다.
* 명탁색(明濁色): 청색에 밝은 회색을 혼합한 색, 채도가 낮아짐.
* 암탁색(明濁色): 청색에 검은 회색을 혼합한 색, 채도가 낮아짐.
* 청색(淸色): 순색에 흰색이나 검정색을 혼합한 색을 말합니다.
* 명청색(明淸色): 순색에 흰색을 혼합한 색. 흰색량이 많아 질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짐.
* 암청색(暗淸色): 순색에 검정색을 혼합한 색. 검정색이 많아 질수록 명도와 채도가 낮아짐.
이상으로 색상의 3속성과 색을 분류해 보았습니다.
디자인을하거나 스타일링시 감각적인 색상을 사용하면되지 이런 이론적인걸 알아야하나? 라는 생각을 하실수도 있는데요.
혼자만 감각적인 색상사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색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이론적 색상공부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냥 막연하게 노랑계열 빨간계열.. 이렇게 설명할수는 없잖아요~
노랑도 맑은색의 노랑이있고 탁한노랑이 있고 수많은 노랑이있으니..
좀더 유식하게(?) 정확한 표현을 위해 공부해 보아요~
그럼..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sty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r]색의 이해(1) (0) | 2020.07.25 |
---|---|
[color] 패션과 컬러 (0) | 2020.07.25 |
[fashion]진(jean)과 데님(denim)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