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Tone(톤)이란??
본문 바로가기

패션공부

[Color] Tone(톤)이란??

 

패션뿐만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색상을 표현할때 톤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미용실에서 염색을할때

밝은 톤인지 어두운 톤으로 갈지 먼저 결정을 하고 세부 색상을 선택하게 됩니다.

화장품을 살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피부색상에 맞는 파운데이션을 고르려 할때,

자신의 피부톤이 쿨톤(Cool Tone)인지 웜톤(Warm Tone)인지 먼저 따지게 되지요~

그게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렇게 톤은 색상을 표현할때 그 이미지를 큰 맥락으로 구분을 지어줍니다.

 

패션일을 하다보면 이 톤(Tone)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만드는 일이든 만든걸 입히는 일이든..

처음에는 컨셉을 잡게 되는데 그 컨셉을 정할때 디자인보다는 색상의 이미지를 먼저 생각하게 됩니다.

그 이미지에 맞춰서 대화로 색상을 표현하기는 너무나 어려운일이지요.

 

색상에 공식적인이름과 번호가  있기는 하지만 

사람마다 부르는 이름을 다를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빨강색을 이야기할때

밝은 빨강, 쨍한 빨강, 어두운빨강, 핏빛빨강, 이런식으로 표현을 하다보면 

쨍한빨강은 어느 정도의 빨강인지.. 핏빛빨강을 어느정도의 농도를 말하는건지.. 참 애매할때가 많습니다.

매번 컬러칩을 가지고 다닌다면 좋겠지만 방대한 양의 컬러칩을 매번 가지고 있기도 어렵구요.

저도 처음 00컨셉회의를 갔을때

컬러칩이없어서 그때 참석하고 있던 사람들의 옷이나 주변 물건의 색상을 가지고 

"이런톤이요.. 여기서 약간 밝은??? 얼마나 밝은톤??"

뭐 이렇게 대화를 하다보니 끝도 없더라고요.

그래서 톤에 대한 표준을 정해놓은 자료를 찾아보고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저와 같은 분들이 계실까봐

이번에는  일반적인 톤에대한 개념을 살펴보는게 좋을 것 같아서 이렇게 조사해 보았습니다.

<팬톤 칼라칩>

 

톤의 개념

톤(Tone)이란 명도와 채도를 포함한 색의 명암, 강약, 농담을 나타내는 색의 속성입니다.
색조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동일색상이라고 해도 톤에 따라서 다른 이미지와 성격을 지닐 수 있으며,

톤의 변화에 따라 이미지 표현에 효율적입니다.

 

톤을 표현하는 여러가지 구분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ion System): 1964년 일본에서 만들어 짐
Hue&Tone 120색체계: 일본의 PCCS와 스웨덴 NCS등에서 개발한 색상과 색조를 우리나라감각에 맞게 개발한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먼셀색체계를 기반으로 유채색톤의 영역을 11단계, 무채색톤의 영역을 10단계로 구분하였습니다.
KS표준색체계 톤분류: 국가 기술 표준원에서 공시한 무채색의 명도와 유채색의 명도와 채도의 상관관계를 명시한 색체계로 먼셀 색체계를 기반으로 13개의 유채색톤과 무채색인 뉴트럴(neutral)톤으로 구분이 되어있습니다.

 

 

톤 이미지

 

이 이미지는 KS표준 색체계 분류표입니다.

그림왼쪽으로는 무채색의 명도를 볼수있는표가 있고,

명도를 기준으로 하여 옆으로는 채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채도는 저채도에서 고채도의 방향을 두고 있습니다.

 

고채도, 고명도, 중간톤, 저명도 이렇게 네가지로 크게 톤을 나눌 수 있습니다.

 

*고채도: 강하고 화려한 톤
-활동적이고, 강렬한 이미지 (비비드톤,스탠다드톤)
*고명도: 밝은톤
-여성적이며, 부드러운이미지(라이트톤, 페일톤, 화이티시톤)
*중간톤: 차분한톤
-수수, 소박, 안정감, 차분한 이미지(소프트톤, 그레이시톤, 덜톤)
*저명도, 어두운톤
-남성적이며, 중후한 이미지(딥톤, 다크톤, 블랙키시톤)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있는 톤에 대한 개념과  톤의 이미지를 크게 나누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색상을 표현할때 사용하는 톤의 명칭과 그에맞는 이미지에 대해 자세히 공부해 볼께요~

그럼 내가 생각하는 이미지에 대한 톤의 명칭을 잘 사용 할 수 있을 거예요~

 

패션은 감각과 개성이라고 하잖아요~

특히 패션을 직업으로 삼고 계신분들은

나혼자만의 세상에 빠져있다면 큰일납니다.

패션은 소통하는 직업이예요~ 고객의 니즈를 알아야하고 나의 감각을 고객에게 설명도 잘해야해요~

그럴려면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있어야합니다.

고로,, 공부를 열심히 하자구요~

모두들 화이팅입니다~